기사 메일전송
[미술치료/치매] 치매 환자–간병자 ‘동반’ 미술 스토리텔링, 행동·심리증상(BPSD)↓·의사소통·삶의질(QoL)↑
  • 기사등록 2025-09-03 20:14:09
  • 기사수정 2025-09-03 20:15:47
기사수정

치매 환자와 주요 간병자가 한 팀(다이애드) 으로 참여하는 미술+스토리텔링(크리에이티브 아트·타임슬립스 결합) 프로그램(CrEAS-AC)을, 주 2회 12주간 실시한 무작위 대조 시험(RCT) 이 보고되었다. 비교군은 일반 사회적 교류 활동이다.

 

중재군은 12주 시점에 BPSD 지표(NPI, AES-I)와 간병자 스트레스/부담(CBI) 감소, 의사소통 능력(SFACS)과 삶의질(QoL-AD) 개선이 유의하게 컸고, 24주 추적까지 효과가 유지되었다. 

안전사건은 보고되지 않았고 순응도 90%+ 로 현장 적용성이 높다.


미술치료 프로그램에서 노인 치매 환자에게 적용하는 난화 활동 모습 

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성되나(현장 재현 포맷)

  • 세션 구성(약 50–75분): 오리엔테이션(5분) → 라포·워밍업(5–10분) → 시각예술 만들기(20–30분) → 스토리텔링(20–30분, TimeSlips 방식). 환자는 간병자와 나란히 앉아 보조를 받으며 진행한다. 미술–언어 이중 채널로 정서 표현과 상호작용을 유도한다.


  • 운영 인력·환경: 훈련된 진행자 2인이 그룹을 리드·관찰하며, 고난도 장비 없이 병동 활동공간·데이케어실에서 운영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. 간병자 동반을 구조에 내재화해 가정 내 돌봄기술 전이를 돕는다. 


왜 의미가 있을까

  1. 1. 행동·심리증상(BPSD) 직접 타깃: 불안·초조·무감동 등 BPSD는 입원·약물의 주요 원인이다. 본 RCT는 미술 기반 활동만으로도 BPSD를 낮추고 간병자 스트레스까지 함께 줄였다는 점이 실무적으로 크다.

2. 의사소통과 삶의질 동시 개선: 단순 ‘기분 전환’이 아니라 상호작용(대화·표현)과 QoL을 수치로 개선했다. 팀 기반 케어의 강점을 뒷받침한다.

3. 재현성 높은 프로토콜: 주 2회·12주 표준과 세션 틀, 안전성·순응도 데이터가 제시되어 병동·지역기관에서 빠르게 파일럿할 수 있다. 관련 기획·프로토콜은 기존 사전연구와 연속성을 갖는다.



현장 적용 가이드(클리닉/데이케어/교육/브랜드)

  • ■ 클리닉·데이케어:

    • - 파일럿 12주를 기본 단위로 설계하되, 주 1회 60분×24주(동일 총량) 대안도 마련한다.

    • - 간병자 교육 체크리스트(말 걸기·단서 주기·과제 단순화)를 세션 후 5분 미니 코칭으로 제공한다.

    • - 평가 도구는 NPI(또는 CMAI), QoL-AD, SFACS(의사소통), 간병자 부담(CBI) 중 최소 2개를 선택해 베이스라인–12주–24주로 반복 측정한다.


    • ■ 교육·훈련:

      • - 작업치료사·미술치료사·간호사 공동 모듈로 TimeSlips 퍼실리테이션과 안전·윤리(존중·선호 반영)를 포함한다.

      • - 실습평가에 세션 충실도 체크리스트(도입–워밍업–제작–스토리텔링)와 행동관찰 루브릭을 넣는다.



      • 안전·한계·판단

        • 안전성: 본 시험에서 중대한 이상사건 없음, 참여율 높음. 다만 진행자 교육과 간병자 피로도 관리가 필요하다.

    • 한계: 단일 지역 3차병원 중심 표본으로 일반화에 주의가 필요하며, 일상생활능력(ADL) 변화는 단기간에 민감하지 않을 수 있다. 다기관·지역기반 연구가 더해져야 한다.



    • 바로 쓰는 체크리스트

      • 대상·설정: 경도~중등도 치매 + 주요 간병자 동반 그룹

      • 주기·기간: 주 2회 × 12주(또는 주 1회 × 24주)

      • 세션 흐름: 도입 → 워밍업 → 미술 제작(20–30′) → 스토리텔링(20–30′) → 마무리

      • 평가 타임포인트: 주0–주12–주24

      • 리스크 관리: 피로·좌절 신호 시 난이도 즉시 조정, 감염·낙상 예방 수칙 준수


  • 근거 출처

    • Zhuo X, Yan Y, Lin R, et al. Scientific Reports, 2025. 치매 환자–간병자 동반 미술·스토리텔링(RCT): BPSD·간병자 부담 개선, 의사소통·QoL 향상, 24주 유지, 안전·순응도 양호.

    • Lin R, et al. BMJ Open, 2020. CrEAS 프로그램 프로토콜: 미술 기반 스토리텔링 설계의 이론·운영 틀 제시. 




  • 저작권자 © 아트케어매거진 Artcare Magazine무단 전재  재배포 금지

0
기사수정
  • 기사등록 2025-09-03 20:14:09
포토·영상더보기
확대이미지 영역
  •  기사 이미지 [컬러카드뉴스] - 관계와 삶을 조율하는 색, 초록의 심리
  •  기사 이미지 [컬러카드뉴스] - 보라, 영감과 치유의 색
  •  기사 이미지 [컬러카드뉴스] - 따뜻한 주황, 대화를 열고 마음을 연결하다
최신뉴스더보기
모바일 버전 바로가기